©Lee Jiwon. ALL RIGHTS RESERVED.






작업노트


어느 날 약국에 들렀다. 발바닥에 난 상처에 덧대기 위한 붕대형 접착밴드를 사기 위해서였다. 

그 약국에 들어간 몇 명의 손님들 중의 하나였을 나를 향해 그는 기계적인 웃음을 보이며 무엇이 필요한지를 묻는다. 

이미 입구에 들어서면서 벽에 걸린 붕대를 훑어 본 뒤에 내가 사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최대한 내가 원하는 상품에 적합한, 짧고 간결한 단어를 사용한다. 붕대형 밴드를 찾는다는 내 말에 그는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밴드와 붕대를 모두 떠올려 보는 듯 했다. 

머뭇거리는 그의 표정을 읽은 나는 길이가 길고 맨살에 붙이는 밴드가 있는지 물었다. 

처음 그가 가져다 준 것은 일반적으로 간단히 사용 할 수 있는 일회용 밴드였다. 

나는 길이가 긴 테이프 형태의 밴드를 찾는다 재차 말했다. 드디어 그의 아리송한 얼굴이 환해지며 자신있게 물건을 꺼내 준다. 

테이프 형태의 그것을 계산 하고 약국을 나서며 포장을 뜯어 확인을 한다. 이건 발바닥에 붙일수 있는 접착밴드가 아닌 그냥 붕대다. 

나는 약국으로 되돌아 가서 결국은 내가 사고자 했던 형태가 아닌 테이프처럼 둘둘 말린 반창고를 계산하여 집으로 향했다.


 우리는 살아있는 모든 것과 관계 맺어진다. 그 관계 속에서 타자와 나의 마음을 확인(교환)하는 방법은 우리에게 약속되어있는 언어라는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약속된 기호로 전달 된 나의 마음(생각)은 타인에게 한번에 제대로 전달 될 리가 없다. 어떤이들은 그것을 ‘오해’ 라고 말한다. 

 반대로 적당히 선택 된 단어를 수용 함으로써 우리는 소통이 ‘잘’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대화들 속에서 주체인 나는 과연 ‘본질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포착하고 의미전달을 했는가’. 혹은 상대방에게 타자인 나 역시 ‘누군가가 말하고 있는 의미를 정확히 파악 한 것인가’. 

 언어가 이동하는 사이에서 서로가 이해하고 있는 본질의 차이를 느낄수록 이 두가지 의문은 커진다. 

 이렇게 잠깐 스쳐지나는 타자와의 대화 부터도 비현실적이다. 첨예하게 선택한 언어로 규정된 의미는 본질을 미묘하게 비켜간다. 

각각의 주체가 행하는 선택적 수용과 부분적 이해로 인해 미묘하고 깊은 언어의 틈 사이로   빠져버리는 탓에 모호해 지는 것이다. 이 모호함은 불안함을 가져온다.


작품 속 이미지들은 이렇게 생겨나기 시작한다. 약속된 기호로 의미화 하지 못하고 그 기호라는 규격에 맞추지 못한 이미지들은 무의식 속에 남고 쌓여가는 것이다. 

그것이 나에게 불안함을 주고 불만을 야기한다.

쓰이지 못해 쌓이고 마는 ‘약속된 기호’의 잔여물. 그 이미지들은 마치 화산이 분출(발산)하며 어떤 형상을 이루어 가듯, 서로 부딪히고 결합하며 의식의 수면위로 떠올라 ‘섬’이 된다.

결국 이 작업들은 우리의 관계속에서 매 순간 미끄러지고 쓰이지 못하고 남는, 실재(the real)에 관한 이야기 인 것이다.


커스텀 추가영역(개별 수정)
광고
위로가기